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패밀리
- 2021
- rebar
- 유튜브 강의
- sketchup
- structure
- 기본
- FAMILY
- Dynamo
- revit
- 구조
- 레빗
- BIM
- 유튜브
- 스케치업
- 인터페이스
- 강좌
- pyRevit
- 다이나모
- 계단
- Section
- stair
- 공정
- 매개변수
- YouTube
- FormIt
- Tutorial
- Attach Top Base
- 강의
- 애드인
- Today
- Total
목록bim_revit/revit (68)
BIM 장선배
레빗(Revit)에는 벽 자체의 입면을 수정할 수 있는 프로파일 편집이라는 기능이 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벽의 위 아래에 있는 지붕이나 바닥의 위치, 모양 등에 맞게 자동으로 부착되게 만들어서 입면을 수정할 수 있는 상단/베이스 부착 기능이 있습니다. 이 입면을 수정할 수 있는 상단/베이스 부착 기능, 커튼월 그리드를 회전하는 방법, 그리고 바닥의 하위요소 수정 기능 등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레빗(Revit)에서 곡선형의 벽에는 프로파일 편집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곡선형의 벽 입면을 수정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그 방법에 대해서 살펴 봅니다.
오늘은 레빗에서 원하는 요소를 여러번 빨리 복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팁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복사 기능보다 훨씬 빠르게 복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원형 계단을 만드는 방법을 통해서 구체적인 계단 유형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이 유형을 생성하기 위해서 계단 옆판 유형과 재료 등을 지정하는 방법, 디딤판을 지정하는 방법, 그리고 프로파일 패밀리를 생성하는 과정 등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레빗에서 프로젝트에 있는 계단을 그려서 배치하는 것은 쉽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계단을 생성해서 적용하는 것은 어려워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원하는 디자인의 계단 유형을 생성하기 위해서 계단에 대한 내용을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 보려고 합니다.
지난 동영상에서 설명해 드린 매개변수에 대한 내용이 너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서 레빗에서 다시 한번 직접 설명하고 보여 드리겠습니다.
레빗에서 매개변수는 각 요소의 모든 정보를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여러 종류의 매개변수와 그 특징 및 차이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실제 프로젝트에서 혼란이 생기기 쉽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교육했던 내용을 요약해서 매개변수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 봤습니다.
레빗 2022 버전은 여러 면에서 이전 버전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습니다. 특별히 제가 개인적으로 꼭 업데이트가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들도 한두개 포함되어서 개인적으로는 좀 더 만족도가 높은 레빗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라이노 파일과의 호환성, 일람표와 태그 관련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레빗 2022 버전이 드디어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에서는 많은 부분들이 개선되거나 새롭게 추가되었는데요, 그 중에서 오늘은 3D 그리드와 공유 뷰, 그리고 테이퍼형의 벽을 생성하는 방법 및 비 코어 레이어의 가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 그리고 마지막으로 PDF 내보내기 기능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